미의회조사국,미해군 전투함 건조비용 2054년 까지 1조달러 필요
상태바
미의회조사국,미해군 전투함 건조비용 2054년 까지 1조달러 필요
  • 안형진 기자
  • 승인 2025.02.07 21: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54년 390척 확보

미의회예산국(CBO)은 1월 8일(현지시각) 미해군의 '2025 건조 계획'의 예산을 분석해서 공개한 보고서에서 미해군은 전투함(battle force ships)을 2024년 295척에서 2054년까지 390척 확보계획을 가지고 있다.

미행정부 트럼프 대통령은 미해군이 그 와중에 콘스텔레이션급을 미해군에서 멋대로 설계변경을 해서 비용 및 기간증가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제럴드.R.포드급 신형항모 건조가 6척 예정되어 있으나, 헌팅턴중공업과 뉴포트 조선소의 건조역량 저하로 미해군의 전투함 증가계획 및 비용초과의 걸림돌이 될것이다.(사진:U.S.NAVY)
제럴드.R.포드급 신형항모 건조가 6척 예정되어 있으나, 헌팅턴중공업과 뉴포트 조선소의 건조역량 저하로 미해군의 전투함 증가계획 및 비용초과의 걸림돌이 될것이다.(사진:U.S.NAVY)

미해군은 30년간 전투함(combat ships) 293척과 군수·지원함 71척 등 총 364척의 함정을 새로 건조할 계획이다.

차기 제럴드.R포드급 항모 6척, 컬럼비아급 원자력 탄도탄 잠수함(SSBN) 10척, 버지니아급 원자력 추진 공격잠수함을 포함한 잠수함 59척 등이다.

전략자산으로 분류되는 전투함의 건조비용은 1조750억달러(1600조원)이며 공격원잠이 총 건조 비용의 49%를 차지한다.

신형전투함 건조하면서 구형전투함을 퇴역시키게 되면,  공백으로 2027년에는 총 함정 숫자가 지금보다 작은 283척으로 일시적으로 감소한다.

미의회예산국은 2027년부터 생기는 일시적인 공백으로 미해군의 전력도 향후 5∼10년간 감소했다가 2030년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한다.

2025 건조 계획을 예정대로 이행하려면 2025 회계연도부터 2054 회계연도까지 연간 평균 358억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미해군이 자체 추산한 비용보다 약 19% 많은데 CBO는 일부 함정의 건조 시간과 비용이 미해군의 자체 예상보다 많이 들었다는 점을 고려했지만, 업체들의 건조능력 저하는 미해군 전력증강의 걸림돌이다.

401억달러는 지난 5년간 해군에 책정된 연평균 275억달러의 예산보다 46% 많다.

CBO는 2025 건조 계획의 건함비용이 최근 예산뿐만 아니라 역대 기준과 비교해도 높다고 지적했다.

CBO는 또 건조 계획대로라면 미국 내 조선소에서 건조하는 용적 톤수가 지금보다 평균 50% 증가해야 한다면서 미국의 방위산업 기반 강화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헌틸턴중공업의 척당 건조대수가 최근 5년동안 1.2척으로 줄어서 시간과 비용이 더 초과될 것으로 미의회예산국 조사조차 확실하지는 않다.

[디펜스투데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